본문 바로가기

이슈 Top 10

당신만 모르는 GS리테일 개인정보 158만건 유출 사고 최악의 유출 사고 Top 10

반응형

 

최근 GS리테일의 홈쇼핑 웹사이트인 GS샵에서 약 158만 건의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불과 한 달 전, GS25 웹사이트에서 약 9만 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고가 있었던 만큼, 연이은 사고로 인해 많은 고객이 불안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GS리테일 개인정보 유출 이번 사건의 원인과 대응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

 

 


개인정보 유출의 주요 내용

이번 GS리테일 개인정보 유출 사고는 2024년 6월 21일부터 2025년 2월 13일까지 약 8개월 동안 지속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GS샵 해킹 사고 유출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이름
  • 성별
  • 생년월일
  • 연락처
  • 주소
  • 아이디
반응형
  • 이메일
  • 기혼 여부
  • 결혼기념일
  • 개인통관고유부호

다행히 금융 정보나 멤버십 포인트 등의 데이터는 유출되지 않았다고 하지만, GS리테일 보안 이슈 개인 정보가 노출된 것만으로도 보안 사고의 심각성은 큽니다.

 


유출 원인: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

GS리테일 측은 다른 웹사이트에서 유출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한 크리덴셜 스터핑(Credential Stuffing) 공격이 주요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 이는 해커들이 기존에 유출된 로그인 정보를 사용해 다른 사이트에 무차별적으로 로그인 시도를 하는 공격 기법입니다. 최근 유사한 보안 사고가 잇따르고 있어, 동일한 비밀번호를 여러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것에 대한 경각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GS리테일의 대응

GS리테일은 해킹 시도 IP 및 공격 패턴을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했습니다.

  • 홈쇼핑 웹사이트 계정 잠금 조치
  • 로그인 시 본인 확인 절차 강화
  • 비밀번호 변경 권고 안내 메시지 발송
  • 정보보호 대책위원회 발족
  • 정보 보호 투자 확대 및 보안 정책 강화

GS리테일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보안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점검하고, 개인정보 보호 방법 최신 기술 도입 및 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고객이 취해야 할 보안 조치

이러한 보안 사고가 반복되는 상황에서, 비밀번호 보안 강화 고객들도 자신의 계정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추천합니다.

  1. 비밀번호 변경: GS샵 계정을 사용 중이라면 즉시 IT 보안 사고 비밀번호를 변경하세요.
  2. 다른 사이트와 동일한 비밀번호 사용 금지: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해킹 대응 방안 각 사이트별로 다른 비밀번호를 설정하세요.
  3. 이중 인증 활성화: 가능한 경우, 로그인 시 이중 인증(2FA)을 설정하여 보안 정책 강화 보안을 강화하세요.
  4. 수상한 이메일이나 문자 조심: 유출된 정보를 악용한 피싱 공격이 있을 수 있으므로, 데이터 유출 대응 의심스러운 이메일이나 문자 메시지는 주의하세요.


GS리테일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는 단순한 해킹 문제가 아니라, 전체적인 보안 관리 체계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시키는 사건입니다. 기업은 더욱 철저한 보안 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고객들도 보안 습관을 개선해야 합니다. 앞으로 GS리테일이 어떤 추가적인 보안 조치를 시행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사고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댓글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 주세요!

 

 


 

한국에서 발생한 최악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 TOP 10

 

1. 2014년 카드사 정보 유출 사건 (1억 건 이상 유출)

  • 개요: KB국민카드, 롯데카드, NH농협카드에서 약 1억 건 이상의 고객 정보가 유출됨.
  • 유출된 정보: 이름, 주민등록번호, 카드번호, 결제 내역 등 금융 정보 포함
  • 원인: 카드사 외주 직원이 고객 정보를 USB에 저장 후 불법 유출
  • 결과: 카드사 CEO 사퇴, 대규모 보상 진행, 금융 보안법 강화


2. 2011년 네이트·사이월드 해킹 사건 (3500만 건 유출)

  • 개요: SK커뮤니케이션즈가 운영하던 네이트와 사이월드에서 3,500만 명의 회원 정보가 해킹으로 유출됨.
  • 유출된 정보: 이름, 주민등록번호, 이메일, 아이디, 비밀번호 등
  • 원인: 중국발 해킹 공격으로 인한 시스템 취약점 악용
  • 결과: 대규모 피해자 발생, 정부 차원의 사이버 보안 강화 조치 시행

3. 2008년 옥션 해킹 사건 (1080만 건 유출)

  • 개요: 국내 오픈마켓 플랫폼 옥션에서 1,080만 명의 회원 정보가 유출됨.
  • 유출된 정보: 이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등
  • 원인: 해외 해커의 침입으로 내부 데이터베이스 해킹
  • 결과: 법적 대응 진행, 개인정보 유출 관련 보안 강화 조치 시행


4. 2011년 현대캐피탈 해킹 사건 (170만 건 유출)

  • 개요: 현대캐피탈의 고객 정보 약 170만 건이 해커에게 유출됨.
  • 유출된 정보: 이름, 주민등록번호, 대출 정보, 차량 정보 등 금융 관련 데이터
  • 원인: 해커가 내부 시스템을 공격해 주요 고객 정보 탈취
  • 결과: 현대캐피탈의 대대적인 보안 강화 조치 및 금융권 보안 점검

5. 2014년 KT 고객 정보 유출 사건 (1200만 건 유출)

  • 개요: KT의 고객 정보 1,200만 건이 유출되었으며, 이 정보가 불법적으로 판매됨.
  • 유출된 정보: 이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 등
  • 원인: 해커가 KT 내부 시스템을 장기간에 걸쳐 침입
  • 결과: KT 내부 보안 시스템 개편 및 재발 방지 조치 시행


6. 2012년 넥슨 해킹 사건 (1350만 건 유출)

  • 개요: 게임사 넥슨에서 약 1,350만 명의 회원 정보가 유출됨.
  • 유출된 정보: 아이디, 비밀번호, 이메일 주소 등
  • 원인: 내부 서버 취약점을 이용한 해킹 공격
  • 결과: 넥슨의 보안 시스템 강화 및 계정 보안 정책 변경

7. 2016년 인터파크 해킹 사건 (1030만 건 유출)

  • 개요: 인터파크 고객 정보 1,030만 건이 유출됨.
  • 유출된 정보: 아이디, 비밀번호, 이메일, 전화번호 등
  • 원인: 해커가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이메일 피싱 공격 성공
  • 결과: 인터파크의 보안 강화 및 금융거래 관련 보안 시스템 개편


8. 2015년 한국수력원자력 해킹 사건 (핵심 정보 유출)

  • 개요: 한국수력원자력의 내부 자료 및 일부 직원 정보가 해킹으로 유출됨.
  • 유출된 정보: 원자력 발전소 설계 정보, 직원 개인정보 등
  • 원인: 해외 해커 조직이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한 공격 수행
  • 결과: 원전 보안 시스템 강화 및 국가 차원의 사이버 보안 대책 수립

9. 2017년 이랜드그룹 해킹 사건 (고객 정보 다량 유출)

  • 개요: 이랜드그룹에서 운영하는 일부 매장에서 고객 정보가 해킹으로 유출됨.
  • 유출된 정보: 고객 결제 정보, 멤버십 데이터 등
  • 원인: POS(Point of Sale) 시스템 해킹 공격
  • 결과: 이랜드 측 보안 강화 및 고객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 마련


10. 2024년 GS리테일 개인정보 유출 사건 (158만 건 유출)

  • 개요: GS리테일의 GS샵에서 약 158만 건의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됨.
  • 유출된 정보: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주소, 아이디, 이메일 등
  • 원인: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유출된 계정 정보 활용)
  • 결과: GS리테일의 보안 강화 조치 및 비밀번호 변경 권고

 

 

싱글이가 작성한 아래 Top 10 시리즈도 보시면 큰 도움이 되실거에요!

* 구독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충격! '아저씨'의 김새론, 13년의 굴곡진 인생 김새론 사망 사건의 진실, 김새론의 출연 작품 Top 10

2025년 2월 16일, 배우 김새론 씨가 서울 성동구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습니다! 오랜만에 활동을 재개하려던 시점에서 전해진 비보에 연예계와 팬들은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경찰은 외부 침

kukuku01.tistory.com

 

예견됐던 부산 반얀트리 호텔 대형 화재! 원인 피해 상황 총정리 세계의 반얀트리 호텔 Top 10

지난 2025년 2월 14일 오전 10시 51분경,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반얀트리 호텔 신축 공사장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이번 사고로 인해 6명이 사망하고, 27명이 부상을 입는 안타까운 참사가

kukuku01.tistory.com

 

모르면 손해 보는 한국의 최신 브랜드 평가 가치 순위 Top 10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브랜드 가치 순위 한국의 브랜드 가치는 지속적인 혁신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과를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국 브랜드 가치 특히 IT, 자동차, 금융, 가전, 화

kukuku01.tistory.com

 

반응형